Pro Tools/Pro Tools 가이드

프로툴스(Pro Tools)/Transport Window(트랜스포트 윈도우)/#8

natural.moon 2025. 4. 3. 23:55
반응형

프로툴스에서 재생에 관련된 윈도우로. 기본적으로는 보이지 않습니다.

Window > Transport 항목에서 선택하거나 단축키 command + 1(숫자 키패드)를 누르면 된다.

다음과 같은 창이 하나 나오게 되는데 

 

크게 Transport Controls(트랜스포트 컨트롤스), Counters(카운터스), MIDI Controls(미디 컨트롤스)

이렇게 세 파트로 구성 되어 있습니다.

별도로 오른쪽에 있는 역삼각형 버튼을 누르면

나오는 메뉴에서 설정 할수 있습니다.

 

Transport Controls(트랜스포트 컨트롤스)

 

왼쪽 상단부터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첫 번째 아이콘은 Synchronization(싱크) 기능을 끄거나 켜는 기능입니다.

세션의 맨 앞으로 가는 버튼(Return to Zero), 한 마디 앞으로 가는 버튼(Rewind)

한 마디 뒤로 가는 버튼(Fast Forward),  곡의 가장 마지막 부분으로 이동하는 버튼(GO to End)

정지버튼(Stop), 재생(Play), 녹음 준비 버튼(Record Enable)으로 구성 된다.

Rewind와 Fast Forward 버튼을 누르면 한 마디씩 이동이 되지만 계속 누르고 있으면

천천히 이동이 된다. 키 패스로 1번과 2번에 해당된다.

 

재생 버튼의 경우엔

하프 스피드로 듣거나 구간 반복 등 다양한 재생 모드를 설정 할수 있습니다.

키패드 4번을 누르면 루프를 활성화 할수 있습니다.

 

녹음 버튼의 경우

루프 레코딩 펀지 레코딩 등 다양한 녹음 설정을 할수 있습니다.

키패드 5번을 누르면 루프로 바꿀수 있고

6번을 누르면 퀵펀치를 바꿀수 있습니다.

 

Counters(카운터스)

상단과 하단 두 항목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먼저 상단은 Main counter Selector로 현재 플레이백 커서가 어디에 있는 지 알려주는 항목이고

하단은 Sub counter Selector로 플레이백 커서가 몇 분, 몇 초 지점에 있는지 알려주는 항목이다.

 

표시는 되는 항목을 바꾸려면 각 항목 오른쪽 끝에 있는

역삼각형 모양이 있는 곳을 클릭하면 메뉴가 나오는데 그 메뉴에서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면 됩니다.

참고로 메인 카운터 셀렉터를 변경하면 메인 타임 스케일이 변경됩니다.

 

MIDI Controls(미디 컨트롤스)

먼저 상단부터 보면 Count off(카운터오프/예비 박)을 끄거나 켜는 기능입니다.

키패드 8번을 누르면 활성화 됩니다.

오른쪽을 보면 1 bars(박)라고 쓰여 있는데 예비 박을 몇 마디 줄 건지 설정할 수 있는 항목으로

1박을 더블 클릭하거나 Setup > Click/countoff.... 항목을 선택하면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창이 나옵니다.

 

1박 하단을 보면 4/4라고 적혀 있는 곳을 더블 클릭하면 마디를 변경하는 창이 뜨게 됩니다.

 

이 상태에서 박자를 변경하게 되면 현재 지정된 마디에 새롭게 입력한 박자가 추가 됩니다.

Temop 오른쪽 숫자를 클릭하면 Tempo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네모 박스 안에 있는 항목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Wait for note/ mertonome / midi merge/ conductor track 항목이다.

먼저, wait for note는 녹음 버튼을 눌렀을 때 녹음 준비 상태로 되어 있다가 노트가 입력이 되면 그때부터 녹음 하게 해 주는 기능

Metronome 항목은 클릭을 듣게 하거나 끌수 있습니다.

클립 클릭 트랙을 생성해야 사용이 가능합니다 또한 키패드 7번을 누르면 끄거나 켤 수 있습니다.

MIDI Merge 항목은 미디 녹음을 할 때 덮어쓰기 기능을 끄거나 켤 수 있는 기능입니다.

키패드 9으로 끄거나 켤수 있습니다.

활성 되어 있으면 기존에 있는 미디 노트들을 그대로 두고 추가 입력할 수 있습니다.

Conductor Track은 켜져 있을 때는 템포를 변경할 수 있지만, 꺼져 있을 때는 한번 지정된 템포로만 작업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