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x Window
'COMMAND + ='
오늘은 믹스 윈도우에 대해서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Side Columns(사이드 컬럼스)
에디트 윈도우와 마찬가지로 믹스 윈도우에서도 사이드 컬럼스 항목이 있습니다.
믹스 윈도우에서처럼 화면 왼쪽 하단과 오른쪽 하단에 있는 화살표를 클릭하면 활성화됩니다.
왼쪽은 에디트 윈도우 동일한 화면이 나옵니다.(tracks, groups)
오른쪽엔 heat라는 불리는 항목이 나오는데 bypass왼쪽에 있는 전원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활성화 됩니다.
HEAT는 일종의 Saturation(세츄레이션) 플러그인으로, Drive(드라이브) 노브를 왼쪽으로 돌리면 Tape(테이프) saturation이 되고
오른쪽으로 돌리면 튜브 saturation이 됩니다.
그리고 톤 컨트롤을 이용해서 밝기를 컨트롤할 수 있는데, 왼쪽으로 돌리면 어두워지고 오른쪽으로 돌리면 밝아지게 됩니다.
Mix Window View Selector(믹스 윈도우 뷰 셀렉터)
박스를 잘 보면 체크가 있는 것과 없는 게 있습니다.
체크가 되어 있는 항목은 믹스 윈도우에 표시되는 항목입니다.
참고로 해당 항목을 추가하는 건 반드시 믹스 윈도우 뷰 셀렉터에서만 해당 항목을 추가할 수 있지만,
빼는 경우에는 빼고 싶은 항목에 커서를 대고 Option + 클릭 하면 됩니다.
Color Palette(컬러 팔렛트)
트랙에 색깔을 입혀주는 기능으로, 트랙을 손쉽게 구분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Track Color(트랙 컬러)가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트랙 하단부를 더블 클릭하거나 Window 메뉴에서
Track Color를 선택하면 나오는 창에서 설정하면 됩니다.
하단에 있는 UI Customization을 크릭하면
Track Header Saturation 항목을 조절하면 트랙 색상이 지정된
컬로 점점 바뀌게 됩니다. 참고로 가장 진하게 하려면 맨 오른쪽으로 돌려서 100으로 지정하면 됩니다.
특정 트랙의 색상을 바꾸려면 바꾸고자 하는 트랙을 선택한 다음, 컬럼 팔레트에서 색을 지헝하면 지정된 색으로 변경됩니다.
Insert & Send(인서트 & 샌드)
프로툴스는 인서트와 샌드를 각 최대 10까지 지원합니다.
참고로 평소에는 5개 밖에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믹스 윈도우 뷰 세렉터에서 추가하면 됩니다.
inserts 항목이 A~E / F~J가 생성되어서 10개
Sends 항목도 A ~ E/ F ~ J가 생성되어서 10개 까지 적용 할수 있습니다.
inserts 플러그인의 프로세싱은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적용되며
sends는 순서와 상관없이 개별적으로 진행 됩니다.
즉, 인서트는 해당하는 트랙에 있는 소리가 첫 번째 플러그인에 적용된 다음
두 번째 플러그인에 적용되고 그리고 마지막 세 번째 플러그인으로 적용됩니다.
Expanded Sends View(센즈 확장 뷰)
sends 항목 왼쪽을 보면 오른쪽 화살표가 있는데 Command 키를 누르면서 오른쪽으로 향하는 화살표를 누르면
sends 확장뷰가 나옵니다.
화단 상단에 있는 view 메뉴에서 expanded sned 항목에 들어가서 원하는 센드를 선택해도 동일하게 작동됩니다.
복사,이동 바이패스 비활성화
인서트 이펙트나 샌드에 있는 항목들을 이동하려면 해당하는 항목을 마우스 드래그하면 되고
복사하려면 Option 키를 누르면서 드래그하면 복사가 됩니다.(샌드도 동일)
플러그인을 bypass 하려면 플러그인 창에서 바이패스 버튼을 누르거나 '오른쪽 마우스 클릭 > bypass를 선택해도
되지만 Option 키를 누르면 해당하는 플러그인을 클릭해도 바이패스가 됩니다. 센드도 동일합니다.
또한 해당하는 줄에 플로그인을 모두 bypass를 하려면
option + command를 누르면 클릭하면 된다.
이번에는 make inactive 방법에 대해 이야기 해보면
비활성화하고자 하는 플러그인을 선택한 다음 '오른쪽 마우스 > make inactive'를 선택해도 되지만
control + command 마우스 클릭 하면된다.
또한 해당하는 줄에 플러그인을 모두 inactive 할려면 control + option + command를 누르고 클릭하면 된다.
플러그인을 제거하게 되면 해당 플러그인의 설정값들이 전부 사라지기 때문에 당장은은
이 플러그인을 쓰지 않겠지만 나중에 어떻게 될지 모르겠다고 생각될 때는 제거하는 것보다는 인액티브를 하는 게 좋다
작업을 하다 보면 한 트랙에 있는 플러그인들을 전부 아패스 하거나
이큐만 바이패스 하는 등 다양한 상황이 있습니다. 그럴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단축키 입니다.
Shift + A | 해당 트랙의 모든 플러그인 바이패스 |
Shift + 2 | inserts A ~ E 바이패스 |
Shift + 3 | inserts F ~ J 바이패스 |
Shift + Q | 해당 트랙의 모든 샌드 바이패스 |
Shift + 4 | Send A ~ E 바이패스 |
Shift + 5 | Send F ~ J 바이패스 |
Shift + E | 해당 트랙의 모든 이큐 바이패스 |
Shift + C | 해당 트랙의 모든 다이나믹스 바이패스 |
Shift + V | 해당 트랙의 모든 리버브 바이패스 |
Shift + D | 해당 트랙의 모든 딜레이 바이패스 |
Shift + W | 해당 트랙의 모든 모듈레이션 바이패스 |
작업을하다 보면 더 많은 트랙의 정보를 보기 위해서 믹스 윈도우를 좁게 봐야 할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는 View -> Narrow Mix를 선택하거나
단축키 option + command + m을 누르면 된다.
'Pro Tools > Pro Tools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툴스(Pro Tools)/Track(트랙)/#9 (0) | 2025.04.05 |
---|---|
프로툴스(Pro Tools)/Transport Window(트랜스포트 윈도우)/#8 (0) | 2025.04.03 |
프로툴스(Pro Tools)/Side Columns(사이드 컬럼)/#6 (0) | 2025.03.26 |
프로툴스(Pro Tools)/EDit Window(에디트 윈도우)/#5 (0) | 2025.03.14 |
프로툴스(Pro Tools)/Toolbar(툴바 2)/#4 (0) | 2025.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