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툴스에서는 routing folder(라우팅 폴더), basic folder(베이직 폴더)
audio track(오디오 트랙), aux input(억스 인풋), master fader(마스터 폴더)
vca master(브이씨에이 마스터), midi track(미드 트랙), instrument(인스트루먼트 트랙)
vider track(비디오 트랙) 총 9가지 트랙을 만들 수 있습니다.

Audio track(오디오 트랙)
오디오 트랙은 녹음을 하거나 녹음되어 있는 오디오 파일을 불러와서
편집을 할 수 있는 트랙입니다.
볼륨 페이더 오른쪽에 레벨 미터가 한개만 있는 건 모노 트랙이고
두 줄로 되어 있는 건 스테레오 트랙입니다.
팬도 마찬가지로 모노 트랙의 경우엔 한 개만 되어 있고
스테레오 트랙은 두 개가 있습니다.

트랙 선택 > 오른쪽 마우스 클릭 > Change Track widt를
하면 트랙을 변경이 가능합니다.

aux input track(억스 인풋 트랙)
억스 인풋 트랙은 흔히 억스 트랙으로 불리는 트랙입니다.
오디오 트랙과 비슷하게 생겨서 헷갈릴 수 있겠지만
오디오 트랙과 다르게 녹음을 하거나 오디오 파일을 가지고 올 수 없고 지정된 인풋
으로 들어온 시그널을 지정한 아웃풋으로 보내주는 트랙입니다.
참고로 오디오 트랙과 마찬가지로 인서트 이펙트가 있으면 이펙트가 적용된다.
트랙을 구분하는 가중 쉬운 방법으로 S,M 상단을 보면 오디오 트랙은 I라고 쓰여 있는 버튼과
녹음 버튼이 있고 억스 트랙은 S,M 버튼만 있다.

master fader(마스터 페이더 폴더)
마스터 페이더는 세션 안에 있는 모든 트랙들이 모여서 출력되는 트랙으로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작업을 할 때 반드시 만들어야 하는 트랙입니다.
경웨 따라 다양한 타입을 고르면 되는데 다채널 믹싱을 하는게 아니라면 스테레오 만들면 됩니다.
참고로 마스터 페이더 트랙을 제외한 다른 트랙들은 인서트 이펙트를 적용한 다음
볼륨 페이더가 적용되는데 반해, 마스터 파이더 트랙은
볼륨 페이더가 적용된 다음 인서트 이펙트가 적용됩니다.

VCA 트랙
VCA 트랙은 여러 트랙을 동시에 컨트롤 할 수 있는 트랙으로
그룹으로 묶은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
VCA 트랙으로 컨트롤 하고자 하는 트랙을 먼저 그룹으로 묶습니다.

그런 다음 VCA 트랙에 보면 No rtoup이라고 쓰여 있는 항목이 있는데
클릭해서 보면 그룹을 고를 수 있는 항목이 나옵니다. 거기서 컨트롤 하고자 하는 그룹을 고르면 그때부터는
VCA 트랙 볼륨을 조절하면 그룹으로 묶인 트랙들이 동시에 컨트롤 됩니다.

midi track(미드 트랙)
미디 트랙은 주로 외장 악기나 가상 악기를 사용할 때 사용되는 트랙입니다.
instrument(인스트루먼트 트랙)
트랙은 가상 악기를 사용할 때 사용되는 트랙입니다.
vider track(비디오 트랙)
비디오트랙은 Ultimate 버전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트랙으로
믹스 윈도우에서는 보이지 않고 에디트 윈도우에서만 보이는 트랙이다.
폴더 트랙
여러 트랙을 하나로 묶어서 사용할 수 있는 트랙이다.

라우팅 폴더와 베이직 폴더 두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직 폴더는 말 그대로 폴더처럼 묶어 주기만 하지만
라우팅 폴더는 베이직 폴더처럼 하나로 묶어 주면서 억스 인풋 기능이 포함된 트랙이라 볼수 있다.
'Pro Tools > Pro Tools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툴스(Pro Tools)/Track(트랙)높이 변환/#11 (0) | 2025.04.11 |
---|---|
프로툴스(Pro Tools)/Track(트랙)/#9 (0) | 2025.04.05 |
프로툴스(Pro Tools)/Transport Window(트랜스포트 윈도우)/#8 (0) | 2025.04.03 |
프로툴스(Pro Tools)/MIX Window(믹스 윈도우)/#7 (0) | 2025.03.28 |
프로툴스(Pro Tools)/Side Columns(사이드 컬럼)/#6 (0) | 2025.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