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66

[음향] dB(decibel, 데시벨) 2

저번에 포스팅한 dB(decibel,데시벨) 이여서 포스팅하겠습니다. 일단 저번에 포스팅한 내용을 다시 정리하겠습니다. dB(decibel)란 출력에 관련 되는 두 값 사이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Log(Logarithm)를 사용해 나타낸 비율의 단위이며 인간의 감각에 가깝게 표현 할 수 있는 단위입니다. 저번에 포스팅한 내용 정리 입니다. dB의 종류로 dBSPL, dbPa, dB(A), dB(C), dBU, dBV, dBFS 등이 있습니다. dB 크게 두 부류로 나눌수 있습니다. 두 가지를 나누는 기준은 첫번째는 Acoustics 환경에서 사용하는 경우 입니다. 다시 말하면 음압레벨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쉬운말로 귀에 들리는 소리를 측정할때) 물체가 진동 하면 대기압 변화시키고(변화량 -> 음압) 변화..

음향 2022.04.20

[음향] 데시벨(decibel) 대해

dB(Decibel) 란? Decibel이란 전기적인 혹은 물리적인 변화에 대한 사람의 청감 변화를 수치로 나타낸 것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스피커의 볼륨이 높였을때, 증가된 만큼 인지할까요? 전혀 그렇치 않고 약간 증가된 느낀다고 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약간' 어느정도일까요? 통상적으로 3dB을 음의 레벨 변화를 인지할 수 있는 최소 양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물리적인 음의 크기와 인간이 느끼는 음의 크기는 다릅니다. 등청감곡선(Equal Loudness Countour) 표입니다. 음압 레벨에 따라 변화는 청각 변화를 주파수별로 나타내는 곡선이며 음악에서의 레벨 밸런스는 우리가 듣는 음압 레벨과 매우 밀접한 관게가 있습니다. 이 내용은 나중에 정리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다시 Deciblel 로 넘..

음향 2022.03.07

음정 평균률 순정률

순정률의 원리음정을 정하는 방법에는 '순정률'과 평균율 두 가지가 있습니다.순정률의 정의는 소리란 일정한 주파수를 갖는 파동이다.그래서 '각 음 사이의 비' 라는건 '각 음 사이의 주파수의 비'라는 뜻입니다.16세기 중반에 완전 5도와 완전 8도와 함께 으뜸음에서 장 3도를 이루는 제3도의 음인 가온음(mediant)을 채용하여순정음률(just intonation) 체계가 만들어졌다.피타고라스 음률에서는 장3도가 9/8 x 9/8 = 81/64 로 주어지지만 순정률 체계에서는 장 3도의 진동수의 비를 5/4로 정하였다. D는 피타고라스 음률과 마찬가지로 C에서 5도를 2회하여 만든 것으로 진동수 비가 9/8 주어지고E는 가온음으로 진동수가 5/4F는 C에서 5도 하행하여 한 옥타브를 올려준 것이므로 진..

화성학 2022.02.21

[플러그인] Waves Doubler대해

Doubler Doubler 플러그인은 레코딩을 할때 녹음을 한번 더 받는 '더블링' 이라는 작업을 해서 얻는 효과와 비슷하게 만들어주는 플러그인 입니다. 하나의 오디오 신호를 2개 또는 4개의 신호로 바꾸어 만들어주고 소리에 게인, 패닝 딜레이 등 여러가지 효과를 줄수 있습니다. 주효과는 소리를 풍부하게 하는것에 목적에 있습니다. Waves 설명에 따르면 1980년대 대중화된 디지털 클래식 사운드 하모니를 생성하도록 설계되어 있다고 합니다. '더블러' 효과로 인해 소리에 스테레오감을 줄 수 있고 소리가 넓어진듯한 느낌을 주게 됩니다. 혹은 M -> S 로 선택하여 모노 사운드를 스테레오 사운드로 바꿀수도있습니다. 혹은 스테레오 사운드를 정리 할때 가운데 소리의 게인을 조절하여 양 사이드 부분만 나오도록..

VST VSTi/Waves 2022.02.19

[음향] 신디사이저 기본 파형, 기음,배음,복합파(Complex Wave)

신디사이저 파형들과 기음, 배음, 복합파를 설명하기전에 한번더 소리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소리란? 소리는 물리적인 에너지의 변환이며 진동을 발생시켜 귀로 듣게 되는것을 의미합니다. 진동의 일정한 패턴이 있는 경우 그 소리는 파형(waveform)이 있고 구분 가능한 진동의 패턴이 없는 경우 노이즈(Noise)라고 합니다. 사이클(Cycle)은 파형이 반복하는 것을 말하며 초당 발생하는 사이클 수에 따라 주파수(Frequency)라는 파형의 기음을 결정합니다. 초당 진동수의 단위는 Hz로 440Hz라는 A3 음정입니다. 진폭(Amplitud) : 파형의 진동 크기이며 음압의 변화를 보여줍니다. 파장(Wavelength) : 사이클 거리로 주파수가 높을수록 파장은 짧아집니다. 주기(Period) : 하..

음향 2022.02.16

[플러그인] Wave CLA - 3A Comp대해

Waves CLA 3A에 대해 CLA -3A를 설명하기 앞서 CLA - 2A와 유사점이 있어 비교를 해보고 시작하겠습니다. 두 컴프레서는 차이점보다 유사점이 더 많습니다. 심플한 인터페이스가 비슷하고 피크 리덕션의 양과 게인으로 출력 레벨을 설정합니다. Comperess(Ratio 3: 1) 또는 Limeter(Ratio 100 :1)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HiFREQ를 통해 전체 주파수에 대해서 플랫하게 컴프레싱할 것인지 높은 주파수일수록 더 많은 컴프레싱을 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일부 사람들은 이것을 단순한 디에서로 취급하지만, 밝기를 줄여서 사운드를 더 뒤로 밀어낼 수도 있습니다. 오리지널 하드웨어 장치의 노이즈 플로어 및 험(50/60Hz)을 에뮬레이트하는 아날로그 옵션이 포함되..

VST VSTi/Waves 2022.02.14

[음향] 소리란? 소리의 3요소

이번에는 제일 기초적인 내용을 다뤄볼라고합니다. 그것은 바로 소리의 3요소 입니다. 소리가 가지고 있는 3요소 음량(Volume), 음색(Timbre), 음정(Pitch) 입니다. 각각 자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소리란? 소리는 진동입니다. 정확히 이야기하면 진동을 통해 발생한 에너지의 이동이라고 말할수입습니다. 소리는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경우 우리는 소리라고 말하며 일정한 주기와 형태를 알아 볼수 없는 형태를 우리는 소음이라고 부릅니다. (주기란 : 똑같은 모양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되는 현상, 반복이 일어나는데 걸리는 시간) 공식으로 P(시간) = 1(초)/F(주파수) = Second 입니다. (1 Second = 1000 ms)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부분과 낮아지는 부분이 있는데 ..

음향 2022.02.13

[음향 장비]마이크(microphone)

저번 포스팅에서 시그널 플로우에대 설명했습니다. 오늘 시그널 플로우에서 필요한 장비중 하나를 자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마이크란? 마이크는 사람의 청각 기능을 모델링 한것이므로, 전기적인 지식이 전혀 없는 사람들도 구조를 쉽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예들 들면 마이크 케이스는 귓바퀴, 얇은 진동판은 고막 그리고 전기 회로는 뇌 세포에 해당 된다고 볼 수 있다. 마이크는 변환 방식에 따라 다이나믹과 콘덴서로 분류하고 다이내믹은 무빙코일형과 리본형 그리고 콘덴서는 튜브와 FET 등으로 나눠어집니다. 변환이란 소리라는 음향 에너지를 오디오 신호라는 전기 에너지로 바꾸는 것을 말합니다. 다이나믹 마이크(Dynamic Microphone)에 무빙 코일형(Moving Coil Type) 무빙코일형의 작동 동작..

음향 2021.07.01

[음향] signal flow(시그널 플로우)

시그널 플로우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시그널 플로우 본 내용 시작하기전에 기본적으로 알아하는 오디오 장비들을 간단하게 이야기 해봅시다. 녹음시 필요한 오디오 장비들 1. 마이크(microphone) 마이크는 녹음시 '소리 에너지를'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 시켜주는 장비입니다. 마이크는 크게 다이나믹 과 콘덴서 마이크로 나눠어지고 모양과 지향성에 따라서 쓰임새가 달라지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는 나중 따로 한편 만들어서 깊게 말씀 드리겠습니다 2. 오디 인터페이스(오인페, audio interfaces) 마이크가 '전기 에너지로' 변환해주는 주는 장비라면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전기 에너지'를 PC에서 읽을 수 있도록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주는 장비 입니다. 이 과정을 ADC(analogue digi..

음향 2021.06.30

[플로그인] Wave CLA - 76 Comp 대해

Wave CLA -76 Comp 오늘은 Waves 사에 CAL - 76 Comp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Waves 사의 CLA - 76은 UREI 1176를 복각한 플러그인 입니다. CLA 76 Compe 원래 프리앰프 노이즈가 모델이며 FET 방식 트랜지스터 입니다. FET란? Field Effect Transistors 약자로 트랜지스터 회로로 진공관 사운드 에뮬레이션 한것입니다. 특징으로 트랜지언트를 빠르게 캐치 할 수 있는 빠른 반응성과 밝은 사운드 또한 VCA 컴프와 다르게 색채감을 부여합니다. Waver 사에서는 BLUEY, BLACKY 페이스 2가지 버전으로 복각을 했습니다. 두개의 차이점은 THD 와 및 약간 다른 게인 단계가 차이점 입니다. THD : 오디오 신호에서 불필요한 하모닉 ..

VST VSTi/Waves 2021.06.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