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68

[음향] signal flow(시그널 플로우)

시그널 플로우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시그널 플로우 본 내용 시작하기전에 기본적으로 알아하는 오디오 장비들을 간단하게 이야기 해봅시다. 녹음시 필요한 오디오 장비들 1. 마이크(microphone) 마이크는 녹음시 '소리 에너지를'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 시켜주는 장비입니다. 마이크는 크게 다이나믹 과 콘덴서 마이크로 나눠어지고 모양과 지향성에 따라서 쓰임새가 달라지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는 나중 따로 한편 만들어서 깊게 말씀 드리겠습니다 2. 오디 인터페이스(오인페, audio interfaces) 마이크가 '전기 에너지로' 변환해주는 주는 장비라면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전기 에너지'를 PC에서 읽을 수 있도록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주는 장비 입니다. 이 과정을 ADC(analogue digi..

음향 2021.06.30

[플로그인] Wave CLA - 76 Comp 대해

Wave CLA -76 Comp 오늘은 Waves 사에 CAL - 76 Comp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Waves 사의 CLA - 76은 UREI 1176를 복각한 플러그인 입니다. CLA 76 Compe 원래 프리앰프 노이즈가 모델이며 FET 방식 트랜지스터 입니다. FET란? Field Effect Transistors 약자로 트랜지스터 회로로 진공관 사운드 에뮬레이션 한것입니다. 특징으로 트랜지언트를 빠르게 캐치 할 수 있는 빠른 반응성과 밝은 사운드 또한 VCA 컴프와 다르게 색채감을 부여합니다. Waver 사에서는 BLUEY, BLACKY 페이스 2가지 버전으로 복각을 했습니다. 두개의 차이점은 THD 와 및 약간 다른 게인 단계가 차이점 입니다. THD : 오디오 신호에서 불필요한 하모닉 ..

VST VSTi/Waves 2021.06.29

[음향]하스효과(선행음효과)/마스킹 효과/ 칵테일 효과

하스효과(Hass effect)?선행음효과(Precedence effect)? 일반적인 스테레오 시스템에서 두 개의 스피커로 주파수와 음압이 동일한 음을 동시에 재생하면 인간의 귀에는 두 개의 소리가 정중앙에에서 재생되되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이처럼 음상이 스피커의 중앙에 정확히 위치하는 것을 '음상이 정위되었다' 라고 합니다. 스테레오 시스템에서 음에 위상차가 없으면 모노로 재생됩니다. 스피커의 신호를 약간 지연 시키면 음상은 왼쪽 스피커 방향으로 옮겨 진다. 이것을 '하스 효과' (Hass Effect)또는 선행음 효과라도 합니다. 이 효과는 실험적으로 도달 시간차가 1~30ms의 범위 안에서 발생하는데 시간차가 50ms 이상 이 되면 두개의 소리 분리된 것 같이 들립니다. 아날로그 방식의 서라운드 ..

음향 2021.06.29

[음향] Mono(모노)/Stereo(스테레오)/5.1채널?

모노?스테레오?5.1채널? 음악을 하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모노' '스테레오' '5.1채널'등의 용어는 한번쯤 들어볼수 있습니다. 정확한 개념은 모르는 경우가 많지만 사실 분류기준은 아주 간단합니다. 채널의 갯수로 분류하고 흔히 모노는 채널 1개 스테레오 2개라고 하죠 자세한 설명은 쭉 이어가도록하겠습니다. Mone(모노) Monaural 혹은 monopthonic sound라고 하는것을 줄여 Mone 라고 말합니다. 모노는 단일 사운드이기 음의 분리도가 없고 방향성이 없는 것을 말합니다. 스테레오 시스템으로 들을 경우 좌우 채널에 동일한 사운드가 재생되기 때문에 스피커의 정중앙에서만 사운드가 형성됩니다. 여러분이 Cubase/Logic/Pro tools/ 등 DAW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녹음, 재생등으로..

음향 2021.06.28

[음향] 컴프레서(compressor) 종류

컴프레서의 기본 원리에 대해 알려드려고 이번에는 컴프레서의 종류들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컴프레서를 사용하다보면 VCA Vari-mu Opto FET Glue 같은 용어들을 보게 될겁니다. Acttack Releas Ratio Threshold 등 노브는 똑같으나 VCA 냐 Opto 냐 FET 냐에 따라 컴프레서 특성 마다 쓰이는 용도도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보컬을 작업할 때 Opto 나 Vair -mu 컴프레서를 사용하여 부드럽게 전체적인 밸런스가 잡혀지지만 스네어나 킥 펀치감을을 주는 컴프레싱을 원할 때는 FET VCA 컴프레서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컴프레서 종류들은 기존 하드웨어 컴프의 작동 구조에 따라 분류된 것입니다. VCA(Voltage Controlled Amplifler) Co..

음향 2021.06.20

[플로그인] Wave CLA - 2a Comp 대해

Waves CLA - 2A 오늘은 Waves 사에 CLA 2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CLA -2A 는 텔레트로닉스이 LA 2A를 복각한 플러그입니다. 컴프레서의 종류 중 Opto 컴프에 해당합니다. Opto 컴프레서는 optical compressor의 약자로 게인 리덕션에 광오디오/ LED을 사용합니다. 즉 전기적 신호를 주고 받을는 장치이며 옵토셀은 게인리덕션 회로에서 이용한 것이 옵토 컴프레서입니다. LA 2A 특징은 아웃풋 게인 앰프만 진공관으로 사용하여 소리에 배음이 추가되여 착색 효과를 볼수 있습니다. Waves CLA - 2A 기능 설명 CLA -2A에서 중요 조절 노브는 Gain/PEAK REDOUCTION 딱 2자기 입니다. 하나가 더 있다면 HiFREQ가 있습니다. 그만큼 사용하기 ..

VST VSTi/Waves 2021.06.19

[음향강좌] 익스팬더(expander)/게이트(gate)

익스팬더란? 게이트란? 오늘은 다이내믹 계열에 Expander 와 gate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레코딩에서 흔히들 볼 수 있습니다. 흔하게 발생하는 헤드폰 MR 소리, 에어컨 소리 앰프 노이즈등뿐만 아니라 장비마다 존재하는 노이즈 플로를 잡을 때 라이브 환경에서는 각 소리 각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킥 혹은 스네어 드럼에 컴프레서를 사용하면 날카로운 어택 음을 줄이면서 풍부한 서스테인 음을 얻을 수있지만 이와 함께 지저분한 릴리즈 음과 주변 진동음도 함께 증가하면서 음악의 리듬감을 해치게 되서 불필요한 음을 줄이는 것이 익스팬더 혹은 노이즈 게이트입니다. 익스팬더와 게이트 정의 익스팬더 의미로는 '확장시키다' 컴프래서와 반대되는 개념입니다. 컴프레서는 다이내믹 레인지를 줄려서 평준화 시켜주기 위한 것이..

음향 2021.06.11

[음향강좌] 컴프레서(Compressor)/리미터(Limiter) 이해

컴프레서란? 리미터란? 오늘은 다이나믹 계열인 Comp, Limiter을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홈레코딩을 할 때 보컬이나 악기 녹음을하고 들어보면 성량이 커지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의 소리의 크기 차이가 난다고 느껴지는 경우가 많을것 같습니다 또한 소리가 너무 찌르는 듯이 들릴때 어떻게 해결해야지 할지 고민이 될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 꼭 필요한 플러그인은 컴프레서와 리미터입니다. 컴프레서와 리미터의 정의 컴프레서는 영어를 직역하면 "압축기"로 번역이 됩니다 음향에서 설명하는 컴프레서는 컴프레서에서는 입력되는 소리를 일정한 지정값 이상 넘었을경우 압축시켜 소리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평준화 시켜 일정한 밸런스를 유지시켜주는 기능이라고 말할수 있습니다. 여기서 평준화 시킨다는 결과적으로 다이나믹 레인지가..

음향 2021.05.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