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70

[음향]표본화 (Sampling Rate)

오늘은 표본화에 대해 알아볼까합니다. 표본화를 이야하기전에 signal flow에대해 읽어 보시는것을 추천합니다. https://miing95.tistory.com/9 [음향] signal flow(시그널 플로우) 시그널 플로우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시그널 플로우 본 내용 시작하기전에 기본적으로 알아하는 오디오 장비들을 간단하게 이야기 해봅시다. 녹음시 필요한 오디오 장비들 1. 마이크(m miing95.tistory.com 소리가 변환되는 과정을 우리는 ADC/DAC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ADC(Analogue/Digital/Converter) DAC(Digital/Analogue/Converter) 우리는 Analogue 신호를 Digital 변화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간단히 얘기하면 녹음..

음향 2022.05.29

[플러그인] S1 Stereo Shuffler대해

LR 스테레오와 MS스테레오 포맷간의 전환을 위해서는 Mone를 위상반전 시켜 mix 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합니다. LR/MS 컨버전을 수행하는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이 과정을 단순화 시킬수 있습니다. Waves사에 MS Matrix/S1 Stereo Imager/S1 Stereo Shuffler들이 있습니다. MS Matrlx에는 조정가능한 파라메터가 없으며 매우 낮은 점유율을 가지고 S1 Imager 은 MS 디코더 기능을 포함하며 S1 Shuffler은 Imager의 확정 버전으로 저음역대 스테레오 이미지 확장의 품질을 위한 추가적인 기능이있습니다. 그중 S1 Shuffler에 대해 이야기해볼까합니다. S1 Stereo Imager는 Waves의 스테레오처리 기술을 결합한 플러그인입니다. 스테레..

VST VSTi/Waves 2022.05.29

[음향]Headroom(헤드룸)

오늘은 headroom(헤드룸)에 대해 이야기해볼까합니다. Headroom(헤드룸)이란? Peak Level Line Level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기기가 감당할 수 있는 최대의 크기 레벨을 말합니다. Dinamice Rnage(다이나믹 레인지) 내에서 RMS 상한선과 Peak Level레벨 까지를 헤드룸이라고 말합니다. (RMS는 평균적인 볼륨 레벨을 말하고 Peak Level은 순간적인 제일 큰 소리를 의미) 일반적으로 헤드룸이 클수록 음의 크기와 기복이 심하고 평균 레벨이 작은 audio signal이 형성됩니다. 레코딩에서 헤드룸을 통해 안정적인 audio signal level을 형성하기 위해 Compressor(컴프레서)/Limitor(리미터)에 활용됩니다. Headroom(헤드룸)은 급격한..

음향 2022.05.29

[음향] 클리핑(clipping)/드라이브(Drive)

오늘은 디스토션/오버드라이브/퍼즈/클리핑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먼저 드라이브는 어떤 이펙터인지와 클리핑에 대해 설명하고 종류에 대해 넘어가겠습니다. 드라이브 이펙터의 중요한 요소는 Gain(게인), 볼륨(volume)을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Gain(게인)은 드라이브(Drive)라고도 불리며, 기타 앰프의 Preamp(프리앰프)라는 단계에서 앰프 신호의 레벨과 강도를 제어하는 것을 뜻합니다. 전체적인 음량보다 소리의 느낌과 왜곡의 정도, 즉 Tone(톤)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Gain(게인)량의 조절로 음량이 다소간 변화할 수는 있으나 그것은 부수적인 효과이며 음량과는 별개로 입력된 소리에 얼마만큼의 왜곡을 줄 것인가를 제어하는 부분으로 이해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Volume(볼륨)은 소리..

음향 2022.05.24

[플러그인] Maxx Bass 대해

저번 포스팅 Rbass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Rbass를 대해 이야기 이후 Maxx Bass에 흥미가 생겨서 오늘은 Maxx Bass에 대해 이야기해볼까합니다. Maxx Bass는 신호에 추가할 수 있는 배음을 생성합니다. 이 배음들은 귀를 속여서 인지하도록 만듭니다. 출력에 실제로 없을 수 있는 저음 주파수를 모든 시스템에서 재생을 위한 베이스 응답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페이더 신호를 MaxxBass 신호로 바꿀 때 Original Bass 레벨을 몇 db 낮출수 있습니다. 믹스에 평소처럼 베이스의 양을 맞춰수 있습니다. 권장 설졍은 기본값입니다. 단순하게 증가 추가할 배음 페이더 최적의 세팅은 다음과 같습니다. 60 ~ 100 사이 이며 부드럽고 따듯한 저음 반응이 되어야합니다. 작은 스피커에서..

VST VSTi/Waves 2022.05.24

[음향]Refraction(굴절)/Diffraction(회절)/Doppler Effect(도플러이펙터)

Refraction(굴절) 음파가 한 매질에서 다른 매질로 들어가면 속력이 변합니다. 속력의 변화는 음파의 진행 방향을 변화시키고, 이 현상을 '굴절'이라고 합니다. 소리의 속력은 공기의 온도가 높아지면 빨라집니다. (소리의 이동 340ms 1도 온도가 상승하면 0.6ms 빨라진다) 공기가 따듯할수록 공기 입자들의 움직임이 빨라져 소리의 속뎌가 빨라지게 되고 소리의 속력이 빠른 따듯한 공기쪽에서 소리의 속력이 느린 차가운 공기 쪽으로 소리가 구부러집니다. 소리의 속도가 위치에 따라 바뀔 때 사운드 에너지가 모퉁이를 돌아 가는 결과를 낳게 되고 이를 '굴절(refraction)'이라고 부른다. 어떤 음파도 굴절할수 있습니다. 낮에는 지표면에 가까운 공기가 위쪽보다 더 따듯하므로 지표면 근처에서 소리의 속력..

음향 2022.05.23

[음향]모듈레이션 이펙터

오늘은 모듈레이션 이펙터에 대해 이야기해볼까합니다. 모듈레이션 이펙터는 '기존의 오디오 신호를 변조하여 효과를 주는 이펙터' 코러스(Chorus),페이저(Flanger),트레몰로(Tremolo),옥타브(Octaver),피치쉬프트(Pitch Shift)등 의 이펙터 등이 모듈레이션 이퍽테에 속합니다. 코러스(Chorus) 원음에 지연된음(30 ~ 50ms)을 섞여서 합창하는 듯한 효과를 줍니다. 아날로그 딜레이와 비슷하게 작동하지만 LFO(Lwo Frequency Oscillator)를 사용해 울렁거리는 사운드 효과를 만들수 있습니다. 원음과 약간 다른 음정과 시간차로 이펙트를 만들어서 원음과 믹스하면 백킹 보컬과 신디사이저 스트링에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페이저(Phasing) 페이저 같은경우는..

음향 2022.05.22

[플러그인] J37 대해

오늘 abbey road j37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고합니다. 믹싱을 공부하다 보면 컴프레서의 원리, 색감에 대한 EQ, 세츄레이션 ,마스터 컴프 이야기들을 볼수 있십니다. 그러다가 어느 정도 공부하신 분이라면 사용도 해보시고 여러 자료에서 많이 접하신 아날로그 테잎 레코더에 대해 이야기해볼까합니다. 여러 가지 테잎 레코더들이 플러그인으로 복각외어 있는데 오늘은 그중 Waves abbey rodad j3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원래 J 37은 스위스 녹음의 선구자 Will Studer가 디자인한 4인치 XNUMX 트랙 녹음기였씁니다. 이것은 Studer의 첫 번째 멀티트랙 이었습니다. 당시 다용성, 기능 및 단순성을 구현한 기술 혁신이었습니다. 1965년 Abbey Road Studios는 37개의..

VST VSTi/Waves 2022.05.20

[음향] Delay(딜레이),Echo(에코)

이번에는 공간계 이펙터 중 하나인 Delay와 Echo를 다뤄 보겠습니다. 공간계 이펙터는 주로 소리의 시간차를 주어서 잔향을 만들어 내는 기기입니다. 공간이라는 단어와 잔향 이라는 말이 조금 어색할 수 있겠지만 공간의 크기/모양/재질에 따라 정도가 차이가 나서 거꾸로 잔향의 차이를 두게 되면 같은 소리도 다른 공간에 있는 느낌을 줄수 있습니다. Delay 시스템은 원음과 유사한 지연음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만들어내는 매우 단순한 하지만 이것만큼 사용하기 복잡하고 까다로운 이펙터도 없을 것입니다. 일단 Delay설명하기전에 기본적인 소리의 시간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소리는 전파되는 속도가 있습니다. 보통 편균 초당 340m 속도입니다. 즉 소리가 나는 지점에서 340 미터 떨어진 곳에서는 1초뒤에 소리가..

음향 2022.05.18

[음향]Reverb(리버브) 종류

이번에는 리버브 종류에 대해 이야기해볼까합니다. Chamber Reverb (챔버 리버브) Chamber Reverb는 작은 공간에서 작거나 큰 공간의 느낌이 날수 있도록 인위적으로 반사판이나 어떠한 장치들로 울림을 만든 공간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Chamber Reverb는 울림이 심하지 않고 잔향의 밀도가 높으며 불규칙적인 잔향이 특징입니다. Hall Reverb(홀 리버브) Hall Reverb는 공연장의 울림을 재현한 리버브입니다. Hall Reverb는 Chamber Reverb와 다르게 초기 잔향 밀도가 아주 낮은편이고 보통 60 ~ 100ms 초기 딜레이가 존재하며 잔향의 길이는 긴편입니다. 특히 저음부가 고음부로 갈수록 리버브타임이 작아집니다. Plate Reverb (플레이트 리버브) P..

음향 2022.05.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