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68

프로툴스(Pro Tools)/Toolbar(툴바)/#3

오늘은 툴바(tool bar)에 대해 이야기 할것입니다.처음으로 제일 왼쪽에 있는 편집 모드 부터 알아보겠습니다.F1 ~ F4키로 전환할 수 있으며 ~ 키를 이용하면 순차적으로 전환됩니다.SLIP(슬립) 모드 : 클립이 자유롭게 움직일수있습니다. 즉 내가 원하는 위치에 옮길수 있습니다.GRID(그리드) 모드 :  슬립과 다르게 클립을 그리드에 맞게 움직일 때 사용됩니다.그리는 두 가지 모드가 존재합니다.Absolute Grid/Relative Grid 두가지 모드가 존재합니다.Absolute Grid는 오디오나 미디 클립이 그리드에서 앞에 있거나 뒤에 있다 하더라도 해당위치를 무시하고무조건 그리드에 맞추서 이동되는 모드입니다.Absolute Grid로 이동 했을 경우 사진과 같이 Sample 그리도 보다..

프로툴스(Pro Tools)/ 기본인터페이스 / #2

기본적인 사용법을 알아보기 전에Pro Tools를 사용하면 항상 보게 되는 세가지 윈도우에 대해 알아볼것이다.에디트 윈도우(Edit Window)세션을 만들고 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보게 되는데이 화면을 에디트 윈도우라고 한다.'Command + = 누르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뜨는데이 창을 믹스 윈도우라고 한다. 다시 돌아갈라면 동일하게 단축키를 한 번더 누르면된다(Command + Option + m 을 누르면 트랙별 크기가 작아짐)트랜스포트 윈도우는 플레이/정지/마스터 레코드/빨리감기 및 되감기와 같이트랜스포트 관련 기능에 관한 컨트롤을 제공하는 플로팅 윈도우이다.트랜스포트 컨트롤은 편집 윈도우에서도 사용 가능하다.Window > Transport Window를 클릭하면 된다.단축키로는 Command..

프로툴스(Pro Tools)/ 필수 초기 설정 / #1

오늘은 프로툴(Pro Tools) 초기에 설정 하는 방법과오디오 인터페이스 설정 인풋/아웃풋 설정등 기본적인 사용방법에 대해서 알아보 겠습니다. 프로툴스(Pro Tools)를 처음 실행하면 Dashboard가 보이는데오른쪽 하단에 I/O Settomgs 항목을 클릭해보면 다양한 메뉴가 나오는데디폴트인 Last Used는 이전에 작업했던 세션의 I/O 설정을 그대로 가지고 와서 사용하는 항목이다.새로 작업을 할때 반드시 Stereo Mix를 선탁하여 시작해야된다. Bit Depth 하단에 있는 Interleaved는 체크가 되어 있으면모노/스테레오 구분 없이 하나의 파일로 처리가 되고꺼져 있을 때는 모노가 하나의 파일로 되고 스테레오는 L/R로 구분된다.특별한 이유가 없으면 체크한다.2번째로는 섹션을 만들..

ableton live 플러그인 - Dynamics(다이나믹)

ableton 라이브 메뉴얼 번역입니다. compressor compressor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threshold 이상의 신호에 대한 이득을 감소시킨다. compressor은 Peak Level을 줄여 더 많은 헤드룸을 열고 전체 신호 레벨을 올릴 수 있게 합니다. 이것은 더 높은 평균 레벨을 신호로 제공하므로 압축되지 않은 신호보다 주관적으로 더 크고 "펀치"한 소리를 발생시킨다. compressor의 두 가지 가장 중요한 매개 변수는 Threshold과 Ratio입니다. Threshold 슬라이더는 압축이 시작되는 위치를 설정합니다. Threshold을 초과하는 신호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 간의 비율을 설정하는 Ratio 파라미터에 의해 지정된 양만큼 감쇠됩니다. 예를 들어, 압축비가 3..

ableton live 플러그인 - Delay(딜레이/공간계)

ableton 라이브 메뉴얼 번역입니다. Beat Repeat Beat Repeat를 사용하면 수신 신호의 제어되거나 무작위화된 반복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간격 컨트롤은 Beat Repeat(박동 반복)이 재료를 캡처하고 반복을 시작하는 빈도를 결정합니다. Intreval(간격)은 "1/32"에서 "4바" 사이의 값으로 노래 템포와 동기화되고 설정됩니다. Offset 컨트롤은 간격에 의해 정의된 점을 시간 앞으로 이동합니다. 예를 들어 Interval을 "1bar"로 설정하고 Offset을 "8/16"으로 설정하면 세 번째 박자에 대해 바당 한 번 반복하기 위해 재료가 캡처됩니다(즉, 막대를 통해 중간 또는 16분의 8). Offset과 Interval가 반복을 "요구"할 때 실제로 반복될 가능성을 정..

ableton live 플러그인 - distortion(디스토션) 계열

ableton 라이브 메뉴얼 번역입니다. Amp Amp는 7개의 클래식 기타 앰프의 사운드와 캐릭터를 모방한 효과입니다. Softube와 협업하여 개발된 Amp는 물리적 모델링 기술을 사용하여 간단하고 일관된 제어 세트를 통해 사용 가능한 앰프 톤의 범위를 제공 7가지 앰프 모델은 다음과 같습니다. Clean : 60년대 클래식 앰프의 "Brilliant" 채널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 앰프는 영국 침공의 기타리스트들에 의해 널리 사용되었다. Boost : 동일한 앰프의 "트레몰로" 채널을 기반으로 하며, 엣지 있는 록 리프에 매우 적합합니다. Blues : 밝은 캐릭터의 70년대 기타 앰프를 기반으로 한다. 이 클래식 앰프는 컨트리, 록, 블루스 기타리스트들에게 인기가 있다. Rock : 60년대의 고전..

[음향] 오디오 포멧(mp3,wav,AIFF...등)대해

오늘은 오디오 포맷에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오디오 포맷 주로 큰게 두가지로 나뉩니다. 손실 압축 포맷/무손실 압축 포맷이 존재합니다. 사운드의 품질의 기본요소에대해 먼저 설명을 드리고 넘어가도록하겠습니다. 사운드 품질의 요소 오디오 코덱은 전송용 데이터를 압축하고 수신측에서 데이터의 압축을 푸는 프로그램입니다. 속도는 초당 처리되는 비트 수를 의미하는 비트 전송률 또는 kbps로 측정되고 비트 수는 한 포맷 내에서조차 다양합니다. 일반적으로 낮은 비트 전송률은 파일 크기가 작다는 의미이기도 하지만 압축 과정에서 더 많은 데이터(사운드)가 손실되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샘플 속도와 비트 심도 또한 사운드 품질에 영향을 주는 중요 요소입니다. 샘플 속도는 초당 신호 진폭 또는 사운드의 샘플 수 입니다...

음향 2022.08.18

에이블톤 라이브 기능 (1)

모든 내용은 ableton live 11/Mac 기준으로 합니다. 설명하기 앞서 DAW에 대해 이야기 해보도록하겠습니다. DAW는 Digithal Audio Workstation으로 디지털 음성 편집 및 처리 기능을 가진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져있는 로직/큐베이스/프로툴/에이블톤/ F1 스튜디오 등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ableton Live는 Session view/arrangement view 존재합니다. 키보드로 Tap을 누르면 전환이 가능하고 각각 음악을 재생하는 방식과 편집하는 방식하는 방식이 다릅니다. arrangement view는 타임라인(시간)에 따라 소리를 재생하는 반면 session view는 트랙에 트리거하여 재생 순서 상관없이 레이어하는 방식입니다. arra..

[음향] MIDI에 대해

오늘 MIDI에 대해 알아보려고합니다. 컴퓨터 음악과 미디의 차이는 정확히 말하자면 MIDI는 음악을 컴퓨터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만든 신호입니다. 흔히 볼수 있는 큐베이스/로직/에이블톤/프로톨 등은 미디 신호를 다룰 수 있는 툴의 이름으로 'DAW'라 불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일종입니다. (DAW : Digital Audio Workstation) MIDI MIDI(미디)는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의 약자입니다. 미디는 쉽게 설명하면 규격을 말합니다. MIDI 탄생 배경에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MIDI의 탄생하는 1960년대에 최초로 신디사이저의 상업화에 성공한 이후 현재까지 다양한 새로운 전자악기들이 계속해서 등장하며 서용하게 되었습니다. 70년대 중반부..

음향 2022.08.06

[음향] White Noise(화이트 노이즈)/Pink Noise(핑크 노이즈)

오늘은 Noise 중 White noise/Pink Noise Brown Noise 에 대해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Noize 중 가장 유명한 것은 White Noize일 겁니다. 흔히 우리말로는 백색 소음이라 하면 알수 있습니다. 이런 이름이 붙게 된 이유는 가시 광선 스펙트럼에서 모든 주파수가 골고루 섞인 백색광의 특성과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하면 White Noize(화이트 노이즈)란 다양한 주파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소리이며 전 주파수 대역에서 고른 에너지를 갖기 때문입니다. 좀더 풀어 말하면 모든 가청 주파수 20Hz ~ 20kHz 에 대해 같은 크기를 가진 Sine Wave 의 합입니다. 하지만 인간의 청각은 소리를 비선형(직선이 아닌 Log)적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저음보다 고음에 더 민..

음향 2022.08.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