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68

[음향] 오디오 케이블(커넥터) 2

저번에는 XLR/폰 플러그 대해 포스팅했습니다. 이번에는 RCA/3.5/광 케이블/ S/PDIF 대해 이야기해볼까합니다. RCA(포노 플러그) 가정용 홈오디오 기기에서 제일 많이 쓰이는 케이블입니다. 컴퓨터나 비디오 등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공급한하는 역할을하며 2~3개의 단자로 구성되어있으며 단자의 개수에 따라 2RCA, 3RCA라고 합니다. 단자 색은 제조사에 따라 다양하지만 흔히 빨간색, 흰색, 노란색 으로 사용됩니다. 하얀색은 left, 빨간색은 Right 노란색은 Video로 분류됩니다. 겉에 있는 쉴드(Sleeve)와 안에 있는 핀(Tip/ Hot +) 으로 구성 되어 있으며 보이는 것처럼 한 라인에 신호선이 하나이므로 모노 케이블이라고 보면됩니다. 하지만 RCA는 보통 L/R를 하나의 세트..

음향 2022.05.16

[음향] 오디오 케이블(커넥터)

오늘 케이블에대해서 설명하도록하겠습니다. 일단 케이블의 종류 캐논 케이블(XLR), 폰 플러그(5.5잭 TS(언밸런스/TRS(밸런스)), RCA 케이블, 이어폰 케이블(3.5) 광 케이블, S/PDIF 들이 있습니다. 캐논 케이블(XLR) 캐논 케이블은 처음 개발한 업체인 ITT Cannon의 이름을 따라 캐논(Cannon)이라고 불리며 모델명인 XLR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XLR 케이블는 두가지 타입으로 내부의 핀이 돌출되어 있는 수(Male) 단자와 내부의 핀이 함물되어있는 암(Female) 단자로 구분됩니다. 거의 모든 음향기기와 악기, 마이크에는 3핀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XLR 케이블은 마이크를 믹서나 스피커, 오디오인터페이스 같은 음향장비에 연결하는 용도로 주로 사용되며 음향 기기간의 ..

음향 2022.05.15

[플러그인]dbx - 160 대해

Waves 사의 dbx 160 이라는 제품에 대해 설명해보도록하겠습니다. 1971년 David E에 의해 설립된 회사의 가장 중요한 발명품은 dbx Voltage - Controlled Amplifier(VCA)와 dbx RMS Detector 있습니다. 원래 dbx 202 VCA 은 Oven이 높은 온도에서 작동하는 동안 Hand - Macth 된 Discrete Trasistor를 사용해 제작되었습니다. VCA의 성능을 훨씬 능가 했으며 대부분의 초기 Automated 믹싱 보드에 사용되었습니다. 1976년 dbx는 dbx 160 Compressor를 만들었습니다. 이 Compressor는 dbx의 deciliner VCA, RMS Level - Detection 회로 및 Feed - Forward ..

VST VSTi/Waves 2022.05.15

[음향] 마이크 지향성

마이크의 특성에 대하여 알아 보려고합니다. 마이크의 특성을 알게 되면 그 특징에 따라 상황에 맞는 마이크를 선택하고 사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마이크에는 방향이있습니다. 대부분이 마이크 머리를 소리 나는 방향으로 향할 것입니다. 마이크를 거꾸로 잡고 노래하는 사람람은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마이크도 있습니다. 즉, 소리를 받아들이는 방향 이것을 지향성이라고 합니다. 마이크의 지향성은 크게 단일 지향성, 초 지향성, 양 지향성, 무 지향성으로 나눈다 단일 지향성(Undirectional)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마이크입니다. 소리를 받아들이는 방향과 소리를 받아 들이지 못하는 방향이 구분되어 있습니다. 즉, 한쪽 방향으로만 소리를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단일 지향성 마이크의 원리는 복잡할 수..

음향 2022.05.15

[플러그인]R Bass 대해

오늘은 Waves사의 Renaissance Bass(R Bass)입니다. 킥 사운드에 대한 고민이 있으셨던 분들이라면 잘 알고 계실 Renaissance Bass입니다. 킥의 저음이 풍성해지게 해주는 플러그인입니다. R bass 여러가지 테스트를 아래와같이 진행하였습니다. A0 노트(55Hz) 사인파를 생성하고 기본 세팅인 Freq(80 Hz) R bass를 걸어보았습니다. R bass 에 Intensity를 올리지도 않았는데 배음이 생성되었습니다. 킥이나 베이스등의 주파수를 만질 때는 아무생각이 없어습니다. 하지만 Sine wave를 거니 Freq의 작동방식이 좀 신기했습니다. 그래서 Freq를 최대 치 256Hz로 올려서 걸어봤습니다. 작동방식에 대해 조금더 알고 싶어서 R Bass 원리와 작동 방식..

VST VSTi/Waves 2022.05.11

[음향] Level에 대해

Level(레벨)은 오디오 장비의 신호들은 신호 전압의 변화를 dB(데시벨)로 나타낸 것을 말합니다. Mic Level(마이크 레벨) Mic Level은 헤드폰이나 이어폰으로도 들을 수 없을 정도의 매우 낮은 레벨입니다. 다이나믹과 콘덴서 마이크의 출력 신호가 여기에 포함되며 범위는(no signal)에서 - 20dBu(77.5mv)까지 입니다. 레벨 신호를 프로세싱하려면 증폭이 필수적이고 마이크 프리앰프 혹은 헤드앰프가 이러한 미약한 신호를 라인 레벨로 높여주는 장비입니다. 다이나믹이나 리본 마이크 경우 매우 낮은 출력 레벨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많은 게인 증폭을 필요합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이크 프리앰프를 사용합니다. 저출력 마이크는 음원과 마이크로부터의 거리에 의해 발생되는 dB SPL에따라 ..

음향 2022.05.10

[음향]등청감곡선(Equal Loudness Countour) 대해

보틍 음향에서 말하는 음이라는 것은 사람을 기준으로 봅니다. 돌고래나 박쥐 같이 쏘는 초음파처럼 인간이 들을수 없는 소리들은 예외로 두는 것입니다. 인간이 느낄수 있는 가장 작은 소리를 0dBSPL인 최소 가청한계로 두고 가장 큰 소리를 120dBSPL인 최대 가청한계라고 합니다. 120 dBSPL이 넘어가면 고막이 파열될수도 있습니다. 이 부분을 Threshold of Pain으로 보는데, 아무리 0dBSPL과 120dBSPL 사이에 있다고 하더라도 앞에서 말했듯 초음파처럼 높은 소리나 너무 낮은 소리 또한 들을수 없습니다. 즉 음압에서의 가청한계점이 있는것처럼 음의 높낮이에도 가청주파수 대역이 존재하는것입니다. (가청주파수 사람이들을수있는 영역 20Hz ~ 20kHz)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가 발생합니..

음향 2022.05.09

[음향]Fliter(필터)에 대해

저번에는 EQ에 관해서 정리해봤습니다. 이번에는 Filter 종류와 Filter에 대해서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필터는 어디서 부터 나왔을까요? 우리가 synthesizer(신디사이저) 역사를 보면 처음에 나온것은 가산 합성법입니다. (가산 합성법 OSC를 통해 Sine wave를 추가하여 소리를 만드는 방식) 여기서 한가지 문제가 발생합니다. 가산 합성법 소리를 추가해서 소리를 합성하는 방식이기때문에 OSC가 추가적으로 필요합니다. 이것을 조금더 효율적으로 하기위해서 감산 합성 방식의 synthesizer(신디사이저가) 나왔습니다. 감산 합성 방식은 즉, OSC에서 발진한 소리를 특정 주파수 대역을 깎아 소리를 만드는 것입니다. 즉 여기서 특정 주파수 대역을 깍아주는 부분이 필터 입니다. Filter 구..

음향 2022.05.05

[음향] EQ(Equalizer, 이퀄라이저) 종류 2

다이나믹 이큐(Dynamic EQ) 다이나믹 EQ(Equlizer)는 Threshold(스레쉬홀드)를 기반으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반응합니다. 얼핏 보면 다이나믹 EQ(Equlizer)는 매우 비슷하지만, 프로세싱 차이가 있습니다. 보통 멀티밴드 컴프레서의 크로스오버에서는 위상 쉬프트가 일어납니다. 만약 멀티밴드 컴프레서를 패러렐 컴프레션으로 사용한다면, 크로스오버에서 오리지널 트랙과 위상이 틀어지는 일이 발생할수 있다. 패러렐 컴프레션을 하지 않더라도, 위상 쉬프트는 오디오 신호에 변화를 주게 됩니다. 심지어 입력 신호를 컴프레싱하지 않더라도 말이죠. 반면에 다이나믹 EQ(Equlizer)는 입력 신호가 트리거되지 않으면 위상 쉬프트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이 말은 다이나믹 EQ(Equlizer)가 ..

음향 2022.05.04

[음향] EQ(Equalizer, 이퀄라이저) 종류 1

EQ 종류에 대해서 말하기전에 EQ(Equlizer) 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음향 커뮤니티를 보다보면, 글쓴이 EQ 설정값을 공유하거나 남자보컬 혹은 여자컬은 몇 Hz(kHz) 부스트 하거나 컷 하면 좋다라는 경우를 종종 볼수있습니다. EQ는 밸런스 적으로 다듬는 도구로는 활용 될 수 있으나, 이어폰의 톤밸런스를 무시하며 모든 소리를 만들어주는 도구는 아닙니다. EQ는 여러가지 종류가 작동 방식에 따라서 아날로그 EQ(Equlizer) 디지털 EQ (Equlizer)가 있습니다. 아날로그 EQ는 기기 자체의 회로에 Fiter를 이용하고 이를 조합하여 EQ를 구현해내는 것이고 디지털 EQ는 말 그래도 디지털(소프트웨어) 적으로 변형해서 소리의 변화를 만드어내는 것입니다. EQ필터 타입 Low Cut(H..

음향 2022.05.03
반응형